본문 바로가기
컴퓨터 알고쓰자

윈도우를 종료해도 컴퓨터가 자동으로 꺼지지 않는다

by 소가리 2007. 9. 22.

이 문제의 원인은 주로 윈도우 전원관리 부분과 메인보드 전원관리 부분이 충돌하는데 있다.

1. 바이오스 설정에서 전력관리 메뉴의 APM 옵션을 'Enabled' 로 설정해야 한다. 메인보드에 따라 이 옵션이 'Disabled' 로 설정된 경우 Soft Power Off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. 이러한 현상은 초기에 출시된 펜티엄용 메인보드에서 주로 발생한다.

2. 메인보드에 따라 Soft Power Off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. 대표적으로 초기에 판매된 타이얀 사의 펜티엄용 메인보드에서 이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. 따라서 메인보드에서 Soft Power Off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해 본다.

3. ATX/AT 전원 공급 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메인보드에서 AT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한 경우 Soft Power Off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.

4. 윈도우의 내부 프로그램의 종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발생한다. 랜 카드를 사용하는데 통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 일정 시간 대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 이 때에는 몇 분이 지난 후에 컴퓨터가 꺼지며, 랜 관련 드라이버를 최신 드라이버로 교체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

5. 시작 메뉴의 실행을 선택해 msconfig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. 여기서 '고급'을 선택해 빠른 시스템 종료 기능을 '사용 안 함' 에 체크하면 정상적으로 된다. 또는 네트워크 설정을 너무 빈번하게 변경하면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하다.

6. 간혹 윈도우Me 가 설치된 컴퓨터로 초고속통신을 사용하면서 내장형 ADSL 모뎀을 사용할 경우 시스템종료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주 원인은 모뎀의 드라이버가 윈도우98용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. 이 때에는 해당 통신사의 홈페이지 자료실을 방문해 Me 용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새로 설치해주면 해결된다. 윈도우95에서 98로 업그레이드 할 때는 일반적인 하드웨어 주변기기의 경우 드라이버의 호환성에 문제가 없었지만, 윈도우Me 의 경우 Me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98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.